본문 바로가기
다양한정보/육아정보

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 받으세요.

by 앨리맘 2023. 2. 27.

  한국사회가 점차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는 추세인데요.  한국건강가정진흥원, 가족센터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다문화 자녀 언어발달지원 및 결혼이민자 통·변역서비스 등 다문화가족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alt="다문화아이들이 손으로 포개고 있는 사진:
출처 : 어도비무료이미지

  다문화가정이란, 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국제결혼 가정으로 부모 중 한쪽이 한국인으로 구성된 가정을 말합니다.   1990년대 이후 꾸준히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한국 사회는 다문화 가정을 이루는 사회로 접어들게 되면서 언어와 문화의 차이 등으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데요.  한국건강가정진흥원과 각 지역 가족센터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이 들의 사회 적응과 빠른 정착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답니다.  오늘은 다문화 자녀 언어발달서비스,  통·번역서비스, 심리상담 서비스 등을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가족센터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

 

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 서비스

  다문화가족 자녀의 언어발달 상태를 평가하고,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진 아동에게 적절한 언어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원만한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고, 부모에게도 상담 및 교육방법을 제공하여 일상생활 중에서도 아동의 언어발달을 돕도록 촉진하여 자녀들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, 나아가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.

 

서비스 대상

  • 언어평가 및 언어교육이 필요한 다문화가족 자녀(만12세 이하)
  • 초등학교 재학 중일 경우 만 12세를 초과하여도 대상에 포함

 

서비스 내용

  • 다문화 가족자녀 언어평가 : 대상 아동에게 적합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언어발달 정도를 평가
  • 다문화 가족자녀 언어교육 :  교육이 필요하다고 평가된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휘·구문 발달 촉진, 대화·사회적의사소통능력향상, 읽기 및 이야기하기 등의 발달 촉진을 위한 언어교육 실시
  • 부모 상담 및 교육 : 자녀의 언어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부모교육(공감대형성)

 

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

  한국말이 서툰 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해 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또한 통역 및 번역 관련 사회적 일자리 확대에 결혼이민자들을 배치함으로써 자립능력 및 주체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

 

서비스 대상

  •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가족을 직·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개인 또는 기관
  • 서비스 언어 : 베트남, 중국, 필리핀(영어, 타갈로그어), 몽골, 태국, 러시아, 캄보디아, 일본, 네팔어 등 센터별 1~4개 언어(*해당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지원되지 않는 언어에 대한 통·번역은 인근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연계 지원)
  • 이용방법 : 내방, 전화, 이메일, 팩스, 출장(외부) 등

 

서비스 내용

  • 가족생활 및 국가 간 문화차이 등 입국 초기 상담 통·번역
  • 결혼이민자 정착 지원, 국적·체류 관련 정보 제공 및 사업 안내 통·번역
  • 임신, 출산, 양육 등 생활정보 안내 및 상담내용 통·번역
  • 교육과정 통·번역 지원
  • 가족 간 의사소통 통역
  • 행정·사법 기관 이용 시 통역(공증제외)
  • 병원, 보건소, 경찰서, 학교 등 공공기관 이용 시 통·번역(공증제외)
  • 위기 상황 시 긴급지원 통·번역
  • 기타 다문화 가족을 직·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개인 또는 기관에서 의뢰하는 통·번역 등

 

 

한국건강가정진흥원

 

  결혼이주자와 다문화가족을 위해 전문상담원이 13개 언어로 365일 24시간 폭력 피해 긴급지원, 생활정보제공, 갈등해결 상담 및 통역, 긴급 피난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
 

지원내용

  • 정보제공 : 종합생활정보제공(체류, 국적, 법률, 노동, 취업정보 등), 생애주기별 정보제공(다문화가족지원사업, 자녀지원, 한국어교육 등)
  • 통역지원 : 생활 및 전문 통역서비스, 3자 동시통역서비스
  • 긴급지원 : 폭력피해 이주여성을 위한 상담 및 통·번역 제공, 긴급피난시설 운영(아동 동반가능), 이주여성보호시설 입소 연계활동 등
  • 상담지원 : 개인, 부부, 가족상담(전화,면접,방문), 변호사 법률상담(주 1회 사전예약), 온라인 상담(다누리 포털사이트 1:1 상담실)

 

  앞으로는 더욱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거부할 수 없을 텐데요.   문화적, 가치적, 언어적인 다양한 차이로 인한 갈등을 피해 갈 수 없을 것입니다.  다문화 가족 자녀의 국적은 대한민국임을 잊지 말고,  이 들이 자라나 두 나라를 연결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, 글로벌 인재로 자라날 수 있도록 돕는 일에 우리의 노력도 필요하겠지요?  가까운 다문화 가족들에게 따뜻한 시선을 보내 봅시다.

 

 

 

댓글